![]() |
| ▲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초청 편집인협회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16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임원과의 간담회에서 "비영리 언론단체에 공익적 기부가 이뤄질 수 있도록 권익위 차원의 대책 마련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있다.[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제공] |
전현희 권익위원장 "비영리 언론단체 기부금 허용 적극 검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국민권익위원회 전현희 위원장은 비영리 언론단체에 공익적 기부가 이뤄질 수 있도록 권익위 차원의 대책 마련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16일 서울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신문·방송·뉴스통신사 최고 보도책임자들의 모임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이하 편집인협회) 회장단과 만난 자리에서 "공익 언론단체에 대한 기부금 허용이 청탁금지법에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면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되는 '보도 및 언론인 지원 활동'에 대한 사회적 기여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인 서양원 매일경제 편집전무는 "2016년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발효 이후 편집인협회 같은 공익적 언론단체에 대한 기업의 기부는 완전히 중단된 상태"라며 "김영란법이 언론인을 공직자로 규정해 언론인으로 구성된 언론단체 역시 공직자로 간주될 수 있다는 기업들의 두려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편집인협회 기금이사장인 이하경 중앙일보 주필 겸 부사장도 "기업들의 기부금 중단 이후 보도 제작 및 언론인 저술 등에 대한 지원이 사실상 동결된 상태"라며 "이런 형편이 지속될 경우 결국 편집인협회 같은 공적 기구는 소멸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황정미 세계일보 편집인은 "대다수 언론사의 형편이 어렵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특히 규모가 작은 언론사의 경우 제대로 된 보도 제작과 언론인 연수 지원을 할 수 없는 입장이어서 편집인협회 같은 공익적 기구의 지원이 요긴하다"고 강조했다.
윤관옥 인천일보 방송국장은 "지역 언론의 경우 보도 제작과 언론인 연수를 수행할 여력이 매우 제한돼 있다"며 "공익적 지원은 지역 언론에 더욱 절실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내 언론인의 자유로운 해외 취재지원 보장 및 기업들의 언론인 대상 국내외연수에 대한 기회 확대 등에 대한 요청도 있었다.
국내에서는 청탁금지법 적용 이후 삼성, SK, KT, 교보생명 등의 언론인 대상 해외연수 프로그램이 사라졌다.
전 위원장은 이에 대해 "편집인협회의 공익적 요청을, 국민 고충을 살펴본다는 차원에서 검토해 비영리 언론단체에 대한 공익적 기부를 허용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어 "권익위는 국민신문고에 1천만 건의 민원이 접수될 정도로 국민 신임을 받는 대표적인 국민 고충 처리기관"이라고 설명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원부지로 묶인 송현동 부지를 대한항공으로부터 구입하고, 추후 서울시와의 토지 교환을 통해 주택건설 부지를 마련하는 절충안을 성사시킨 것도 권익위"라고 소개했다.
전 위원장은 또 "부처에 대한 민원이 접수되면 변호사 등 전문 인력을 총동원해 법률적 검토는 물론 현장 소리까지 충분히 조사해 권고안을 부처에 전달한다"며 "이런 노력 덕분에 부처의 권고안 수용률이 95%를 넘는다"고 설명했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