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인 가구' 비중 33.3% 최다…"위급 대처 어려움"

임화섭 / 2021-04-29 11:15:00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kakaokakao
  • pinterestpinterest
  • navernaver
  • bandband
  • -
  • +
  • print
연평균 가구 총소득 5천82만원…평균 부채액 4천408만원
▲ 1인 가구 고충 청취 나선 국민의힘 오세훈 전 서울시장 (서울=연합뉴스)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국민의힘 오세훈 당시 예비후보가 2021년 1월 18일 오후 서울 사직동 주택가에서 1인 가구 주민의 고충을 듣고 있다. 오 예비후보는 1인 가구 보호특별대책본부를 첫번째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는 4월 7일 선거로 서울시장에 당선됐다. 2021.4.29. [국회 사진기자단] jeong@yna.co.kr

서울 '1인 가구' 비중 33.3% 최다…"위급 대처 어려움"

연평균 가구 총소득 5천82만원…평균 부채액 4천408만원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지난해 서울시 전체 가구 중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33.3%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9일 2020년 복지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2개월여간 본조사와 부가조사를 합해 시내 4천41가구(가구원 9천472명)에 대해 방문 면접과 비대면 설문조사를 병행해 이뤄졌다.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청년이 41.2%로 가장 많았고, 노인이 22.6%, 중장년이 16.2%였다. 혼자 살면서 가장 힘든 점은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 어려움'(32.5%)이 가장 많았고, 외로움(23.3%), 경제적 불안감(20.3%)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 공약에 따라 '1인 가구 특별대책TF'를 지난 19일부터 가동 중이며, 규칙 개정 등을 거쳐 다음 달에 이를 시장 직속 전담조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의 전체 가구 중 2인 가구는 25.8%, 3인 가구는 20.6%, 4인 가구는 19.2%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연평균 가구 총소득은 5천82만원으로, 지난번 조사(2018년)의 4천920만원보다 소폭 증가했다.

서울 전체 가구 평균 부채액은 4천408만원이며, 부채가 있는 가구만 따지면 평균 부채액이 9천978만원이다. 부채를 갖게 된 1순위 이유는 전월세 보증금 마련 43.2%, 거주용 주택구매 38.7%, 투자목적 5.0% 등이었다.

서울시 주택 소유자의 평균 주거비용은 7억5천857만원, 전세는 평균 3억1천929만원이었다. 주택점유 형태는 자가 소유 42.4%, 전세 37.0%, 보증금이 있는 월세 18.8%, 보증금이 없는 월세 0.9%였다.

2년 전보다 자가 소유와 월세의 비율은 늘고 전세 비율은 줄었다. 2018년에는 이 비율이 각각 38.8%, 40.7%, 16.7%, 0.3%였다. 시민의 85.1%가 스스로 건강하다고 인식했으나, 18.7%는 우울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의 대상별 생활실태와 분야별 복지이용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 다음 달에 '2020 서울시 복지실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로 공개할 예정이다.

(끝)

(C) Yonhap News Agency. All Rights Reserved